'컴퓨터공부 > 컴퓨터시스템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시스템구조 1장 (3) 부울대수 (0) | 2020.10.20 |
---|---|
컴퓨터시스템구조 1장 (2) 논리 게이트 (0) | 2020.10.20 |
컴퓨터시스템구조 1장 (1) 디지털컴퓨터 (0) | 2020.10.20 |
컴퓨터시스템구조 1장 (3) 부울대수 (0) | 2020.10.20 |
---|---|
컴퓨터시스템구조 1장 (2) 논리 게이트 (0) | 2020.10.20 |
컴퓨터시스템구조 1장 (1) 디지털컴퓨터 (0) | 2020.10.20 |
1-3 부울 대수
# 부울 대수 : 이진 변수와 논리 동작을 취급하는 대수
# 변수 : 일반적으로 A, B, x, y, z 등의 문자로 표시
# 3개의 기본적인 동작 : AND, OR, NOT
# 부울 대수의 목적 : 디지털 회로의 해석과 설계를 쉽게 하는데 있음
# 부울 대수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수행하는데 편리한 도구
- 변수사이의 진리표 관계를 대수형식으로 표시
- 논리도의 입출력 관계를 대수형식으로 표시
- 같은 기능을 가진 더 간단한 회로 발견
# f = x+y'z 함수의 논리도와 진리표
# 부울 대수의 기본적 관계
예) F = ABC+ABC'+A'C → F = AB+A'C (그림 1-6 동일한 부울 수식에 대한 두 개의 논리도)
= AB(C+C')+A'C = AB+A'C
# 수식의 보수
-> 드 모르간의 정리 이용
- 어떤 수식에서 모든 OR연산은 AND로, AND연산은 OR로 바꾸어 주고 각 변수를 보수화한다
- 예) F=AB+C'D'+B'D
F'=(A'+B')(C+D)(B+D')
컴퓨터시스템구조 솔루션 (Computer System Architecture Solution) (0) | 2020.10.20 |
---|---|
컴퓨터시스템구조 1장 (2) 논리 게이트 (0) | 2020.10.20 |
컴퓨터시스템구조 1장 (1) 디지털컴퓨터 (0) | 2020.10.20 |
1-2 논리 게이트
# 디지털 컴퓨터에서 이진 정보는 물리량인 전압 신호를 이용하여 0과 1로 표현.
# 게이트 : 이진 정보를 처리하는 논리회로.
입력 논리의 필요조건을 만족할 때 1또는 0의 신호를 만드는 하드웨어의 블록.
# 논리 게이트의 종류
컴퓨터시스템구조 솔루션 (Computer System Architecture Solution) (0) | 2020.10.20 |
---|---|
컴퓨터시스템구조 1장 (3) 부울대수 (0) | 2020.10.20 |
컴퓨터시스템구조 1장 (1) 디지털컴퓨터 (0) | 2020.10.20 |
1.1 디지털 컴퓨터
# 디지털 컴퓨터 : 여러 가지 계산을 수행하는 디지털 시스템
# 디지털(digital) : 컴퓨터 내부의 정보가 제한된 수의 불연속적인 값으로 표시된다는 것을 의미. 예를 들어 십진수 0, 1, 2, ..... 9는 10개의 불연속적인 값을 나타낸다
# 디지털 컴퓨터는 0과 1의 두 개의 숫자만을 사용하는 이진수 시스템
# 하나의 이진 숫자를 비트(bit)라 함
# 이진수 1001011은 십진수로
1×2(6)+0×2(5)+0×2(4)+1×2(3)+0×2(2)+1×2(1)+1×2(0)=75
(괄호는 제곱을 의미함!)
# 컴퓨터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두부분으로 구성
∙ 하드웨어 : 컴퓨터의 모든 전자 제품과 주변 장치를 구성하는 전자기적 부품들을 말함
∙ 소프트웨어 : 컴퓨터의 다양한 정보 처리 작업을 수행하는 명령어와 데이터로 구성
∙ 프로그램 : 컴퓨터에서 연속된 명령어들
∙ 데이터베이스 : 프로그램에 의해 조작되는 데이터들
# 시스템 입장에서 컴퓨터는 하드웨어와 시스템 소프트웨어로 구성
∙ 시스템 소프트웨어(운영체제) : 컴퓨터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 프로그램 집합을 말함
# 컴퓨터 하드웨어
∙ 중앙 처리 장치(CPU) : 데이터를 조작하는 산술 및 논리 연산 부분, 데이터를 저장하는 여러 개의 레지스터, 명령어를 가져와 수행하는 제어 회로등이 있음
∙ 컴퓨터 기억 장치 :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
∙ 입출력 프로세서(IOP) : 컴퓨터와 외부 세계와의 통신과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부분
#컴퓨터 조직(Computer Organization)
- 하드웨어 구성품들의 동작 방식과 이들의 연결방식에 관심을 두는 것으로 각 부품들이 제대로 동작하기 위한 조직적인 구조를 연구.
# 컴퓨터 설계(Computer Design)
- 컴퓨터 하드웨어 설계.
- 제시된 컴퓨터의 사양에 따라 적절한 하드웨어를 선택하고 그들간의 연결방식을 결정하여 시스템 개발
- 컴퓨터의 구현
# 컴퓨터 구조(Computer Architecture)
- 사용자 입장에서 컴퓨터의 구조나 동작에 관심
- 정보의 형식이나 명령어 집합, 메모리 주소기법 등을 연구
컴퓨터시스템구조 솔루션 (Computer System Architecture Solution) (0) | 2020.10.20 |
---|---|
컴퓨터시스템구조 1장 (3) 부울대수 (0) | 2020.10.20 |
컴퓨터시스템구조 1장 (2) 논리 게이트 (0) | 2020.10.20 |
(이미지 출처 제이펍)
간단명료하고 실무에 강한 책
처음 책을 받았을 때에는 생각보다 얇아서 '어? 이정도의 양으로 기초내용은 가능할텐데.. 응용이 가능할까?' 라는 생각이 제일 먼저 들었다. 하지만 읽다보니 그런 생각이 사라지게 되었다.
여러 가지 책을 보면서 굳이 필요한 내용인가...?라는 생각이 들었던 적이 있는데 이 책은 전혀 그런 생각을 들게 해주지 않았다. 그렇다고 책의 내용이 허술한 것도 아니었다. 이전 버전과 거의 최신 버전인 자바 8 비교를 하면서 설명하고 실무에 도음이 될 만한 팁을 많이 주고 있다.
초급, 중급 그 사이 개발자에게 추천하는 책
물론 자바를 처음 시작하는 분들에게 좋은 책인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기초 자바 문법보다는 실무에 중점을 두고 설명을 하고 있는 책이라 기본기를 조금 더 숙련하고 싶은 개발자에게 좋은 책이라는 생각이 든다. 자바를 접한 후, 실력을 늘리고 싶다 하시는 분들에게는 매우 추천하는 책이다.
첫 글이고 아직 많이 미숙한 것은 사실이다. 앞으로는 조금 더 체게적으로 준비를 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고 첫 글을 이런 좋은 책을 쓸 수 있게 되어서 감사하다.